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스티브 존스 / 진화하는 진화론 진화하는 진화론 스티브 존스 지음, 김혜원 옮김, 장대익 감수/김영사 다윈의 는 100년 전의 책이다. 과학에서 100년이면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이다. 저자인 스티브 존스는 그 공백을 메꾸고 있다. 당연히 수술 도구는 유전학이다. 다윈은 변이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 몰랐고, 에서 자신의 무지를 솔직히 고백한다. 이 책을 읽으면 의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이 얼마나 대단한 책인지도 새삼 느낄 수 있다. 을 읽은 독자라면 반드시 넘어야 할 책.다만 번역이 껄끄럽지 못하다는 게 아쉽다. 대강 넘어갈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확실히 오역이라고 판단되는 부분도 있다. 번역상도 수상한 역자라고 하는데 바빴나? http://nonsoolguru.tistory.com2009-10-10.. 2009. 10. 10.
에른스트 마이어 / 진화란 무엇인가 진화란 무엇인가 에른스트 마이어 지음, 임지원 옮김/사이언스북스 지하철에서 이틀에 걸쳐 다시 읽었다. 마이어(1904~2005)는 가장 다윈적인 생물학자로 이름이 높았다. 생물학 전 영역에 걸친 박학함을 바탕으로 진화가 단지 가설이 아니라 사실임을 논증하고 있다. 진화가 왜 사실인지에 대해서 궁금하다면 반드시 읽어봐야할 책. 다루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부족한 편이지만 이 책을 바탕으로 궁금한 점들을 하나씩 찾아가면서 다른 책으로 확장하는 것도 좋을 듯. 스티브 존스의 도 함께 읽었는데 존스의 책은 의 거의 모든 목차를 그대로 따라가면서 의 현재적 의미를 보여준다. 내심 존스가 아니라 마이어가 썼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http://nonsoolguru.tistory.co.. 2009. 10. 10.
서로게이트(surrogates, 2009) SF마니아까지는 아니지만 SF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근미래를 다루는 영화들은 그냥 넘어갈 수 없다. 발상은 좋았으나 영화를 끝까지 이끌어갈 플롯이 약했다. 원작의 세계관에 비해 영화는 너무 단선적인 이야기 구조를 따랐고, 세계관도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다. 육체와 정신의 문제를 깊게 다루지도 않고 인간과 기계의 문제를 깊게 다루지도 않고 그냥 가족애를 바탕에 둔 그저 그런 메시지에 머무른다. 좋은 아이디어를 이런 식으로 말아먹는 것이 아쉽다. 차라리 소심한 사춘기 소년의 이중적 정체성 문제를 다루는 액션 대전물이 나았겠다. 하긴 영화의 세계관은 다시 재활용될 수 있을 듯하니 나중에 한 번 써먹어 보든가. 2009. 10. 5.
내 사랑 내 곁에(2009) 추석 때 고향에 내려가서 봤다. 가족이 함께 볼 영화를 찾다가 마지 못 해 선택했는데 밋밋했다. 포스터에는 김명민의 이름이 먼저지만 영화에서는 하지원이 먼저다. 영화는 김명민을 중심으로 마케팅을 했지만 난 하지원의 연기가 더 좋았던 것 같다. 김명민은 살인적인 감량을 했다는 걸 빼면 글쎄.. 세세한 부분은 원래 눈에 잘 안들어오는 법이니까 그는 노력했겠지만 관객에겐 보이지 않은 부분도 많았겠지 반면 하지원은 빛났다. 눈물을 짜내는 영화은 아니다. 신파로 흐르지 않기 위해서 꽤나 애쓴 흔적이 보이는데 클리셰 과잉이었다. 불치병을 다루는 영화는 늘 이런 식이 될 수밖에 없을까. 2009. 10. 5.